티스토리 뷰
역류성 식도염
1.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은 어떠한 원인으로 위액이나 위 내용물등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위액에는 산성이라는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강한 산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도의 점막은 위 점막과 달리 위산의 소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 점막에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60세 이상의 고령자에게서 많이 발병하며, 특히 여성 노인에게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에는 주로 서양에서 흔히 볼 수있는 질병 이었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국내에서 역류성 식도염의 증가 이유로서는, 식사 스타일의 서양화, 사회 전체의 고령화 등이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속쓰림 · 연하 장애(음식을 원활히 섭취할 수 없는 증상) ·탄산(위액의 산성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는 역류성 식도염의 3대 증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는 말하자면 인간에 내장 된 용광로와 같은 것입니다.
용광로같은 위와 식도 사이에는 괄약근이 있고, 괄약근이 횡격막과 협력하여 덮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괄약근은 평상 시에는 제대로 닫혀 있습니다. 또한 이 괄약근과 횡격막의 압박으로 구성된 덮개는 상당히 우수한 덮개로, 연하(입속에 있는 음식물을 삼킴) 시에는 열고 음식물을 통과시켜, 위의 내압이 너무 상승하면 열려서 트림을 내보내고 가스를 배출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중 하나인 기침이 호흡기 질환 인 천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위에서 식도로 위산이 역류 할 때, 기관지 내에 위산이 흡입되고, 흡입 된 위산이 기관지에 자극을 주어 천식 증상을 악화 시킨다는 것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그 특징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 보도록 합시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특징
① 속쓰림
· 가슴에 뜨거운 것이 올라 오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 주로 식후에 발생한다
· 역류성 식도염의 삼대 증상의 하나
② 연하 장애
· 목이 오그라들어, 음식을 삼키기가 곤란하게 된다
· 역류성 식도염의 삼대 증상의 하나
③ 탄산(위액의 산성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
· 시큼한 것이나 쓴 것이 입까지 올라 온다
· 역류성 식도염의 삼대 증상의 하나
④ 기침
· 격한 기침이 나온다
· 천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⑤ 흉통
· 가슴이 메이는 듯한통증을 느낀다
2.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은 역류 한 위산이 식도의 점막을 망치는 것으로 발생합니다만, 위산이 역류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최초로 올라오는 원인은 위산의 과다 분비입니다. 서구화 된 식생활, 즉 고기와 기름진 것 등 지방이 많은 식품을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생활을 하게 되면, 위의 활동이 활발해 져서 위산의 분비량이 증가하고 또한 위산의 역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과잉 섭취도 위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위산의 과다 분비를 초래합니다.
다음의 원인으로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 저하를 들 수 있습니다. 하부 식도 괄약근은 식도와 위의 사이에 있고, 위에서 식도로의 역류를 막는 기능을 하는 근육입니다. 이 하부 식도 괄약근이 노화나 위수술 등에 의해 그 기능이 저하되어 버리면, 위산의 역류가 방지 되어 지지 않습니다. 위식도 역류 환자에게 고령자가 많은 것은 이 때문입니다.
또한 복압(腹圧,복부의 압박)의 상승도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일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비만이나 벨트 등에 의한 복부의 압박이나 쭈그리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하는 등의 힘에 의하여 위장이 압박되어 복압이 상승하고 위산의 역류가 일어나기 쉬워진다는 것입니다.
3.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 및 진단
■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는 내시경 검사가 중심이 됩니다.
내시경은 가늘고 긴 관의 끝에 비디오 카메라 등이 붙은 의료 기기러, 일반적으로 위 카메라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내시경을 주로 입으로 삽입하여 식도의 상태를 검사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그 증상이 특징적이므로,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보는 것 만으로도 진단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 또는 다른 질병을 제대로 구별하기 위해서라도 내시경 검사는 해야 합니다.
다른 검사로는 pH 모니터링 및 문진 등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 봅시다.
◀ 역류성 식도염의 검사와 그 내용
① 내시경 검사
· 주로 입으로 내시경을 삽입하여 식도의 상태를 확인한다
· 위산 역류에 의한 식도 점막의 손상 (부식 · 염증 등)의 정도를 확인한다
· 역류성 식도염 검사의 기본이 된다
② pH 모니터링
· 식도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식도 내의 pH (산도)를 측정한다
· 식도로의 위액의 역류를 조사한다
③ 문진
· 역류성 식도염의 자각 증상, 생활 습관, 병력,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등에 대해 의사로부터 질문 받는다
4.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로는 약물 요법, 수술 요법, 생활 습관 개선 등이 있습니다.
약물 요법은 내복약이 주로 사용됩니다. 수술 요법은 현재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또한 생활 습관의 개선으로는 식생활의 재검토나 복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특히 약물 치료는 위식도 역류의 치료의 기본이 됩니다.
■ 약물 요법
역류성 식도염의 약물 요법에 사용되는 약물
◀ 위산 분비 억제제
· 위산의 분비량을 감소시킨다
· 프로톤 펌프 억제제 (PPI)와 H2 수용체 길항제 (H 2 RA)가 있다
◀ 위장관 운동 기능 개선제
· 식도의 운동 기능을 개선하고 위산의 역류를 억제한다
· 소화관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음식이 위장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한다
◀ 제산제
· 위산을 중화하고 증상을 완화한다
· 즉효성은 있지만 작용 시간이 짧다
◀ 점막 보호제
· 식도의 점막을 보호한다
· 염증을 일으킨 점막을 복구한다
일반적으로 증상의 상태에 따라 이러한 내복약을 함께 복용합니다.
먹는 약은 반드시 의사의 지도하에 복용, 용법 및 용량을 제대로 지킵도록 합시다.
■ 수술
약물 요법으로 효과가 없거나 심한 경우 등에는 외과적 수술을 할 수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위식도 역류의 외과적 수술은 복강경 수술이나 내시경 수술 등이 있습니다.
■ 생활습관의 개선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첫째, 식생활의 재검토를 들 수 있습니다. 서구화 된 식생활과 음식의 과잉 섭취는 위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위산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위장에 자극이 적은 것을 적당히 섭취하는 것에 유의합시다.
또한 복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도 들 수 있습니다. 복압의 상승은 위장을 압박 해 위산 역류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벨트로 배를 너무 세게 조이지 않고, 무리하게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으며, 비만에도 신경을 쓰도록 합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실금] 요실금의 증상 · 원인 · 예방 (0) | 2018.04.12 |
---|---|
[전립선비대증]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 · 원인 · 예방 (0) | 2018.04.09 |
간질환(간경변)의 증상 · 원인 · 예방 ·치료 (0) | 2018.04.04 |
간질환 (간염)의 증상 · 원인 · 예방 · 치료 (0) | 2018.04.04 |
[심부전] 심부전의 증상 · 원인 · 예방 · 치료 (0) | 2018.04.04 |